🎬 영화 & 콘텐츠

헌법의 가치가 담긴 영화추천 BEST 5

*###* 2025. 4. 3. 17:52
반응형

헌법 가치가 담긴 영화 BEST 5

“법은 국민을 지키기 위한 약속입니다. 때로는 영화가 그 약속을 되돌아보게 만듭니다.”

정의 관련 이미지-출처 unsplash

▲ 헌법 관련 이미지-출처 unsplash

 

🎬헌법 가치가 담긴 영화 BEST 5

1. 『1987』 (2017) – 정의의 실현은 국민의 권리

대한민국 헌법 제1조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고 명시합니다. 영화 ‘1987’은 이 조항이 현실에서 어떻게 피로 쓰였는지를 그린 실화 기반 작품입니다.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언론의 침묵, 권력의 은폐, 그리고 그 모든 것을 넘은 시민들의 외침. 민주주의의 기반인 헌법 가치 ‘정의’가 어떤 땀과 희생을 통해 지켜졌는지 되새기게 합니다.

 

2. 『더 포스트 (The Post, 2017)』 – 표현의 자유는 헌법이 보장한 기본권

미국 헌법 제1조는 언론의 자유를 보장합니다. 한국 헌법 제21조 역시 “모든 국민은 언론·출판의 자유와 집회·결사의 자유를 가진다.”고 규정하고 있죠. 이 영화는 펜타곤 페이퍼 유출 사건을 다루며, 언론이 권력과 국민 사이에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를 묻습니다. 국가의 비밀이 과연 진실을 막을 수 있는가? 표현의 자유가 위협받는 시대에, 이 영화는 헌법의 소중함을 일깨워줍니다.

영화 더 포스트 포스터

▲ 영화 더 포스트

 

3. 『서프러제트 (Suffragette, 2015)』 – 평등권은 투쟁으로 얻은 권리

헌법 제11조는 “모든 국민은 법 앞에 평등하다.”고 선언합니다.

그러나 법은 선언만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이 영화는 20세기 초 영국 여성들이 참정권을 쟁취하기 위해 나섰던 실화를 그립니다.

성별, 계층, 노동 조건에서 차별받던 여성들이 위험을 무릅쓰고 목소리를 낸 결과가 오늘날의 평등으로 이어졌죠.

평등은 자연스러운 권리가 아니라,

시민의 각성과 행동에서 비롯된 헌법적 가치임을 보여줍니다.

 

4. 『밀양 (Secret Sunshine, 2007)』 – 법과 정의, 그리고 용서의 간극

극단적인 상실을 경험한 주인공이 법적 정의를 마주하면서 겪는 감정의 파동.

이 영화는 형벌과 구원이 반드시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는 사실을 감성적으로 그립니다.

헌법 제27조는 "모든 국민은 법률에 의한 재판을 받을 권리"가 있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법적 정의와 인간의 내면적 정의가 다를 때, 과연 무엇이 ‘정의’인가를 고민하게 만드는 영화입니다.

 

5. 『링컨 (Lincoln, 2012)』 – 헌법은 시대에 따라 진화한다

1865년, 미국 수정헌법 제13조의 통과를 위해 싸운 링컨 대통령의 정치적 전략과

도덕적 결단을 다룬 이 영화는

헌법이 단순히 고정된 문서가 아닌, 시대정신에 따라 새롭게 쓰여야 함을 상기시킵니다.

노예제를 폐지하는 일이 헌법의 이름으로 가능했기에,

‘헌법이 사회 정의의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가장 강하게 전달하는 작품입니다.

영화 링컨 포스터

▲ 영화 링컨 포스터

“헌법은 국민이 권력을 감시하는 도구입니다.
그리고 그 권리는,
스크린 속 이야기에서 더 생생하게 다가옵니다.”

 

📘 헌법 정리

  • 자유: 사상, 표현, 언론의 자유 / 제18~21조
  • 평등: 차별 금지, 기회 균등 / 제11조
  • 정의: 법 앞의 평등, 적법 절차 / 제27조, 제10조
  • 국민 주권: 권력은 국민에게 / 제1조
“헌법은 책이 아니라, 사람의 마음속에서 살아야 한다.”

 

이 영화들을 통해 우리는 추상적인 헌법 조항을 ‘느낄 수 있는 가치’로 전환하는 것에 도움을 줍니다.

반응형